장애인일자리사업

중증장애인 일자리사업 소개​

- 지역사회 내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노동’은 노동을 하는 공간과 그 안에 존재하는 관계이고 그 시간의 대부분이 사회 구성원과 연결 되어지는 일상적 메카이기도 하다.

-본 장애유형 맞춤형 특화일자리 사업의 가장 큰 목적은 참여자의 사회적 역할과 관계망의 확장이며, ‘할 수 없는 존재’가 ‘할 수 있는 존재’가 되고 자신의 소득 활동으로 또 다른 삶과 관계 맺고 다시 그 삶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렇듯 최중증장애인의 노동은 단순히 ‘노동’을 하는 주체자의 역할을 넘어 취약한 계층의 사각지대를 연결하고 민간지역에서 자립생활 기반구축과 변화되어야 할 지역사회의 이슈에 대해서 제고하고 구현시키고자 한다.

이렇듯 최중증장애인의 노동은 단순히 ‘노동’을 하는 주체자의 역할을 넘어 취약한 계층의 사각지대를 연결하고 민간지역에서 자립생활 기반구축과 변화되어야 할 지역사회의 이슈에 대해서 제고하고 구현시키고자 한다.

장애인권리중심공공일자리 소개글

우리는 이윤과 효율을 중시하는 ‘노동’이 아닌 모두가 배제되지 않는 지속 가능한 ‘노동’을 합니다! 우리는 UN CRPD(장애인권리협약) 권고사항 이행을 위하여 ‘권리’생산 직무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노동을 위한 직무교육, 직무회의, 문화예술, 장애인 편의 및 권익개선, 장애인식개선 활동을 합니다.

문화예술활동

✔ 춤추는 해방의 신바람
✔ 발달장애인연극패
✔ 마음새가 춤추는 플랫폼

장애인편의시설 및 권익개선

✔ 중구 '권리' 투어버스
✔ 권리(사진/영상)꼴라주
✔ 권리 입간판 제작소
✔ 권리 놀이터 '서울 중심에서 외치다'
✔ 우리가 제작하는 유니버셜 디자인

장애인식개선
활동

✔ '이유 있는 날개짓' 영화 제작사
✔ CF 만들기
✔ '차별접기, 권리펼치기'
✔' 차별없는 가게' 거리 플래시몹
✔ 권리 런웨이 '당신의 장애'
✔ 손끝으로 부르는 노래 수어 공연
✔ Disability Pride
✔ 취업 박람회